반응형 한민족과고조선한6 [한민족과 고조선 한]_2장 제2장 지혜로운 인류가 등장하다 1. 지구의 환경변화 1) 빙하기가 도래하다 인류탄생의 시기인 신생대 후반부를 우리는 흔히 빙하의 시대라고 부른다. 왜 그렇게 부르느냐면 지구가 650만 년 전부터 냉각화가 심해지고, 250만 년 전 부터는 빙하가 세력을 강화하여 지구기후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시기로 접어들었기 때문이다. 지구의 기후변화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지구가 태양의 복사에너지를 얼마나 많이 흡수하느냐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흡수하는 양이 많아지면 지구기온이 올라가고 적게 흡수하면 추워져 빙하기가 도래하게 되는 것이다. 지구기후변화에 영향을 끼치는 몇 가지 요인을 살펴보면 지구자전축 기울기의 변화로 기울기가 작으면 극지방이 더 추워진다. 지구공전의 궤도가 10만년을 주기로 이심률이 변하는데 타원.. 2023. 6. 16. [한민족과 고조선 한]_1장 2) 영장류가 번성하다 포유류들 중지상에서 벌어지는 심한 먹이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 포식자들의 위협에서 안전한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는 나무 위에서 생활을 선호하는 영장류들이 나타났다. 영장류는 약 8천 5백만 년 전 무렵 수많은 생물계통의 가지들 중작은 곁가지에 불과한 포유동물강의 작은 가지인 영장류로 여우원숭이와 안경원숭이를 포함하는 원 원류 원숭이들과 유인원을 포함하는 진 원류원숭이가 등장한 것이다.13 영장류는 포유류 중에서 가장 지능이 뛰어나고 다양한 능력을 지니고 있다. 영장류는 나무위에서 생활하기 위하여 나무에 잘 오를 수 있고 오래 매달릴 수 있도록 뒷다리가 길어지고 몸통은 직립자세를 취하게 되었다. 움켜쥐는 손, 발과 손발톱이 발달하고 부드러운 사지와 고도의 입체적 시각기능 등이 나무 .. 2023. 6. 15. [한민족과 고조선 한]_1장 5. 포유류가 등장하고 영장류가 번성하다 1) 포유류가 나타나다. 약 39억 년 전 지구에 생명체가 탄생한 이후 지질시대인 고생대에 삼엽충과 완족동물이 번성하였다. 중생대에는 거대한 파충류인 공룡들이 최상위 포식자로서 지구의 주인공 행세를 하고 있었다. 척추동물의 일종인 포유류는 약 2억 년 전에 지구상에 처음 등장 했으나, 당시 포유류는 대부분 다람쥐처럼 왜소한 모습이었다. 무시무시한 공룡들에게 잡아먹히지 않기 위해서 땅속 굴이나 키 큰 나무둥지에서 살았다. 포유류는 생존을 위해 진화하면서 알을 낳는 대신에 어미의 몸속에서 어느 정도 키운 뒤 새끼를 낳아서 젖을 먹여 양육하므로 어미의 모성애가 뛰어난 동물이다. 포유류는 다른 동물에 비해 뇌에 신피질이 많아 높은 지능을 갖고 있고 이빨은 앞니, 송곳니 .. 2023. 6. 11. [한민족과 고조선 한]_1장 제1장 푸른별 지구에 한반도와 생명이 형성되다 3. 한반도 어떻게 자리 잡았나 1) 거대한 대륙이 등장하다 거대한 태평양에서 광활한 유라시아 대륙에 진입하는 서북쪽 관문에 아름다운 금수강산 한반도가 있다. 한반도는 산과 바다 강과 들이 한데 어우러져 선사시대부터 인류가 생활하기에 적합한 땅이었다. 봄이면 제주도의 유채꽃과 섬진강의 홍매화, 여의도 윤증로의 벛꽃 등 화사한 꽃들이 만개한다. 여름이면 부산 해운대 · 변산 해수욕장 · 강릉 해변에서 여름을 만끽할 수 있고, 가을이면 설악산 · 소백산 · 지리산 · 내장산의 붉은 단풍이 어우러진다. 겨울이면 대관령과 무주 스키장의 설원을 즐길 수 있는 사계절이 아름다운 한민족의 삶의 터전인 한반도이다. 조상대대로 살아왔던 한반도의 면적은 약 223.348㎢로 .. 2023. 6. 10. 이전 1 2 다음 반응형